기업의 채용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은 면접이다. 하지만 매번 후보자의 이력과 직무에 맞는 면접 질문을 수작업으로 작성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설루션이 바로 AI 기반 면접 질문 자동 생성기다. 이 글에서는 해당 아이디어를 창업 아이템으로 구체화하는 전략과 기술 구현 방향, 수익화 모델을 소개한다.
면접 질문도 자동화되는 시대, HR테크의 진화
면접은 채용 과정의 핵심이자 가장 주관적인 절차다. 이력서를 검토하고, 직무를 분석하고, 후보자의 경력과 가치관을 바탕으로 질문을 구성하는 일은 인사담당자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특히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처럼 전문 인사팀이 없는 경우, 면접 준비에 드는 시간과 리소스는 기업 운영의 병목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떠오른 설루션이 바로 ‘AI 면접 질문 자동 생성기’다. 지원자의 이력서, 자소서, 포트폴리오 등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직무 적합도, 커뮤니케이션 능력, 문제 해결력 등을 평가할 수 있는 질문을 자동으로 제안하는 서비스다. 최근 자연어 처리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실제 사용 가능한 수준의 질문 생성이 가능해졌다. 이 글에서는 해당 서비스를 HR Tech 기반 SaaS로 구현하기 위한 핵심 기획 요소, 기술 스택, 비즈니스 모델, 마케팅 전략을 총체적으로 설명한다.
AI 면접 질문 생성기 개발과 수익화 전략
1. 핵심 기능 구성 - 이력서·자기소개서 PDF 업로드 → 텍스트 자동 추출 - ChatGPT API 기반 직무 분석 및 질문 생성 - 질문 카테고리 분류 (기술, 성격, 상황대응, 커뮤니케이션 등) - 질문 수정/추가 기능 (UI 편집 가능) - 면접자별 질문 저장, 공유, 인쇄/다운로드 기능 - 영상 면접 자동 질문 기능 (웹캠 인터뷰 연동 시) 2. 추천 기술 스택 - 프론트엔드: React (Next.js) - 백엔드: Python (FastAPI + OpenAI API 연동) - OCR/Text Parsing: Tesseract.js, PDF.js - AI 처리: OpenAI GPT-4, Claude API, KoBERT (국내 기업 특화용) - DB: PostgreSQL / Firebase - 배포: AWS Lambda + S3 or Vercel 3. 주요 활용 고객 - 중소기업 인사담당자 - 헤드헌터 및 채용 에이전시 - 스타트업 창업자 (비전문 HR 담당자) - 취업컨설팅 업계 - 공공기관 및 대학 커리어 센터 4. 수익화 모델 - 구독 모델 (B2B) - 월 19,000원 (기본형): 월 30명 면접 질문 생성 - 월 59,000원 (프리미엄): 무제한 생성 + 팀 공유 - B2C 단건 결제형 - 1회 질문 생성 3,000원 / 5회 10,000원 - 화이트라벨 제공 - HR 스타트업 및 리크루팅 플랫폼에 커스터마이징 판매 - 부가 수익 - 면접 피드백 자동 평가 기능 추가 후 별도 과금 - 자소서 기반 예상 질문 생성기 연계 서비스 5. 차별화 포인트 - 국문 이력서 및 자소서 자연어 최적화 처리 - 산업군별 직무 DB 탑재 (마케팅, 개발, 디자인 등) - ChatGPT 기반 자연스러운 질문 조합 문장 - 면접자의 연차 및 이직 이유 기반 추가 질문 제안 6. 마케팅 전략 - 스타트업 채용 담당자 대상 무료 데모 - 링크드인, 로켓펀치, 원티드에 기능 소개 콘텐츠 배포 - HR 커뮤니티 대상 웨비나 개최 - 이력서 예시 + 예상 면접 질문 무료 PDF 배포 → 리드 확보 7. 추가 확장 아이디어 - 음성 답변 녹음 → AI 피드백 - 면접 스크립트 자동 요약 및 저장 - 외국어 면접 질문 자동 번역 (영어, 일본어 등) - 화상 면접 녹화 기반 평가 보고서 자동화 AI 질문 생성기는 단순 자동화가 아니라, ‘면접 경험의 품질을 높이는 기술’이다.
AI는 질문을 만들고, 기업은 사람을 본다
면접 질문 생성은 시간이 많이 들고 정형화된 작업이지만, 여전히 중요한 의사결정의 출발점이다. 이러한 과정을 AI가 대신함으로써, 채용 담당자는 보다 사람 중심의 면접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성공적인 AI 면접 질문 생성기 창업을 위한 3가지 전략: 첫째, 텍스트 해석의 정밀도 확보. 지원자 문서를 정확히 읽어야 좋은 질문이 나온다. 둘째, 질문 품질 관리. 단순 나열식 질문이 아닌, 맥락 있는 질문 구성이 핵심이다. 셋째, HR 실무자의 습관을 분석하라. 툴이 아닌 ‘일하는 방식’에 녹아들 수 있어야 한다. AI는 이제 채용의 보조 도구를 넘어, 의사결정 구조에 직접 관여하는 파트너가 되고 있다. 그리고 그 시작은 ‘좋은 질문’을 만드는 데 있다.